양측 검정과 단측 검정
예를 들어 남자와 여자의 키를 비교한다면 가설을 '남자의 키가 클 것이다.'와 같이 세울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가설을 세울 때 방향이 정해지는 것을 단측검정이라고 합니다. 이미 가설의 방향을 알고 있거나 혹은 편견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검증에 들어가는 겁니다. 반면에 같은 내용이라고 해도 '남녀 사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처럼 어느 쪽으로 방향을 정하지 않고 가설을 세울 때, 양측검정이라고 합니다. 위의 예에서 가설을 세울 때, 귀무가설은 "남녀의 차이가 없다" 가 되고, 대립가설은 "남자의 키가 크다"(단측검정), "남녀의 차이가 있다"(양측검정)가 됩니다. 다음에는 분석을 해야하는데, 이 때는 유의수준이라는 개념이 중요합니다. 유의수준(α)이란 제1종 오류(귀무가설이 사실일 때, 귀무가설이 ..
2. 그래픽⁄기술/2.4. SPSS
2018. 6. 18. 16:39